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行間

(1256)
온라인 쇼핑몰 ON-Line & OFF-Line 홍보 아이디어 온라인 쇼핑몰의 홍보에 관련된 책이다. 온라인이라고 온라인에 국한되어 홍보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 책의 일관된 이야기다. 이 이야기는 티저마케팅의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오프라인의 티저마케팅을 온라인 홍보의 극대화를 위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버즈 마케팅의 극대화(?)를 위하여 오프라인에서 노이즈마케팅도 많이 쓰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오프라인의 티저마케팅들과 노이즈 마케팅들은 총알(자본)이 든든할 경우 많이 사용된다. 이 책에서는 인터넷쇼핑몰이라고 말하는 소규모, 즉 총알이 그리 넉넉하지 못한 이들에게 오프라인 홍보를 강요(?)하고 있는 책이다. 또한 그에 대한 몇 가지 방안들을 말해준다. 모바일 쇼핑몰에 관한 부분은 곱씹어 볼 내용이다. "또 하나의 영역"이며 "모바일 핸드폰(모바일이 핸드폰을..
자신의 꿈과 열정에 솔직하고 하고 싶다면 지금 당장 시작하라 버진레코드는 잘 알고 있다. 그 버진을 만든 이가 바로 리처드 브랜슨이다. 버진 보다 훨신 나중에 브랜슨을 알게되었다. 괴짜, 얶매이기 싫어 상장하지 않은 인물. 이 정도가 내가 그에 대해서 아는 지금까지 아는 바이다. 책을 보니 상장을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했다가 주식 폭락시기에 원래 공모가에 전량 매수하였다. 이부분도 괴짜지만 멋진 괴짜라고 생각되는 부분이다. 책에서 브랜슨은 "하고 싶으면 지금 당장 시작하라"고 말한다. 또한 그는 "가슴이 이끄는 대로 살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며, 상상한 것을 실현한다." 자신의 "꿈과 열정에 솔직한 것"이 자신이 삶이고 경영이라 한다. 늘 '꿈'에 도전하기를 말한다. 그 꿈을 위해 살아가야 한다. 우리가 잊고있는 (절대 잃은 것이 아니다) 꿈에 대해 브랜슨은 말..
<지식인의 서재>를 통해서 책이 책의 꼬리를 물 수 있을까? 며칠전 행성비출판사에서 가 출간되었다. 지식인(사실 지식인이란 말에는 거부감이 있지만 다르게 좋은 말이 생각나지 않는다) 15명의 서재를 통하여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에 대한 고찰이다. 좀 더 속직히 말하면 서재를 보여주며 이정도는 아니지만 조그마한 서재라도 가지라고 강요(?) 한다. 책에 나온 지식인들은 각기 살아온 배경과 지금 처한 환경이 다르기에 각자 권하는 책과 방법이 상이하다. 하지만 공통점은 인문학적 사고를 키우고 책을 읽으라는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다. 출판사의 입장에서는 책이 출간되었음을 알리고 많이 팔려야 다음을 기약할 수 있기에 홍보가 중요하다. 수 많은 책들이 출간되어 세상에 나오지만 그 많은 책의 대부분이 제목조차 알리지 못하고 사라지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할인하여 팔기도 폐지로 ..
꿈꾸는 다락방의 저자 이지성의 독서관 : 《리딩으로 리드하라》 독서법이 바뀌어야 인생이 바뀐다. 글은 책으로부터 시작한다. 제대로 된 독서에서 제대로 된 글쓰기가 나오고 차별화된 글쓰기가 나온다. 아무리 위대한 천재일지라도 그 사람은 나를 발전시켜주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다른 사람의 카피가 되지 말고 나만의 에너지를 발산하라. 나 자신의 틀을 깨고 나오는 것은 독서를 통해 이룰 수 있는 정신적 체험이다. 간절함과 절박함으로 책을 읽어 나가며 깨달음의 빛이 찾아오는 순간을 매번 체험해야 한다. 그리고 저자와 격렬한 논쟁을 벌여라. 책 한 권을 놓고 명상, 묵상하며 독서를 통한 '깨달음'의 세계를 매번 체험할 수 있어야 한다. 책을 읽고 난 후에는 마음속으로 저자를 불어내어 저자와 논쟁을 하며 격렬한 전투를 치른다. 처음에는 저자를 이기기 쉽지 않지만 계속 정신적 무..
클릭 이브속으로 : 여성이 소비시장의 주역 수년전 메모해 두었던 글이다. 여자에 관한 글이다. '여자에게 물건을 팔아라'이다. 어떻게 팔아야 잘 파는 것일까? 책은 2001년 발행되었다. 세월이 훌적 지난 이야기이지만 여성의 구매파워는 이 책 이전 10년전에도 지금도 앞으로 10년후에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내용을 보면 여성은 근본적으로 복잡하며 단순하지않고 한 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존재라는 생각이 든다. 그들의 입맛을 맞추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한데 역으로 생각하면 여성만큼 단순한 존재는 없다는 뜻이 글의 내면에서 보인다. 몇몇 단순해 보이지않는(사실은 아니지만) 몇몇만 우리편으로 만든다면 대부분의 단순한 여성들은 그들의 말을 듣는다. 이런 역설이 맞는지.... ...여성이 소비시장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적인 마케팅 컨설턴..
초등학생인 큰 아이와 소통을 위하여 판타지 소설을 읽다 어떤 책이 좋은 책이냐는 늘 생각하고 있는 고민중에 하나다. 더불어 편견없이 책을 받아드리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책에 편견을 완전히 떨치지 못하고 있다. 초등학생인 큰 아이가 학교 도서관에서 친구가 추천해주었다는 를 빌려왔다. "지금 읽고 있는 책도 있고 안 읽은 책도 많은데 뭔 책을 빌려왔냐"고 했다. 아마도 빌려온 책이 내가 알고 있는 책이였거나 '판타지' 소설이 아니었다면 그리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큰 아이는 "친구들도 나도 판타지 소설이 좋아"라 말한다. 나는 건조한 목소리로 '그래라'고 말했다. 편견을 가지고 있기에 마지못해 대답했다. 같이 그 책을 읽을 생각을 하지 못했다. 왜 그랬을까. 그래도 도서관에 가서 2권을 빌려왔다. 이 정도면 좋은 아빠라 위안하면서. 을 비틀어 다시 읽으며 아이와..
책으로 집을 지은 악어 : 비틀어 보는 동화 가진 것도 없는 악어가 있다. 수줍고 말도 더듬고 돈도 없어 무허가 건물에 살고 있다. 이런 악어가 책을 좋아한다. 취미가 책 모으기다. (왜 취미가 책 모으기일까? 하기야 모으다 보면 읽기 마련이니... 악어처럼.) 책을 모으다 보니 많이 읽었다. (책은 보기 위해 사는 게 아니라 산 책 중에 읽는 것이다.) 그 마을 사람도 책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우리 마을 사람들도 책을 좋아하지 않는다.) 어른들은 돈 번다고, 아이들은 노느라고 정신이 없다. 책에 묻혀 사는 악어를 보고 모두 손가락질하며 말한다. "말도 제대로 못하는 악어가 책을 본다니.. 정말 웃기는군." (어디나 비슷한다. 나와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틀리다고 말한다.) 마을 사람은 보기 싫은 책이 있으면 전부 악어 아저씨네 마당에 던졌다...
상상하는 책 : 아이보다 어른에게 필요한 책 존 레논은 우리에게 불필요한 몇 가지가 없는 세상을 상상해보라고 했다. 천국과 지옥이 없다면 우리는 ... 국가가 없다면 우리는 ... 소유가 없어진다면 우리는 ... 어떤 삶을 영위할까? imagine all the people 만약 우리에게 꿈이 없다면, 꿈을 꿀 수 없다면 우리는 불행할 것이다. + 미래의 문맹자는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 이미지를 모르는 사람이 될 것이다. - 라즐로 모홀리나기 (1928년) 앞으로 문맹자는 이미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 상상할 줄 모르는 사람이 될 것이다 - 임헌우 (2007년) 꿈을 꾸지 않는 사람은 상상할 수 없다. 고로 문맹자다 - 心香 (2008년) + 아이들에게만 상상력을 요구하지말고 우리가 먼저 상상하고 꿈을 꾸자. 방 없는 문. 우..
'마음'이야말로 좋은 사진을 찍는 데 있어서 불가결한 조건 사진은 인생과 같다. 좋은 작품을 위해서는 많은 실패를 거쳐야 한다. 그러한 실패를 통하여 실패의 작품을 얻을 수 있다. 인생과 같은 또 한가지는 '한 발 앞으로 다가가라'이다. 기억으로는 카파의 말이다.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피사체에게 다가가야 한다. 인생도 앞으로 한 발 다가가야 한다. 좋은 사진과 인생은 실패를 통해서 얻는다. + 나는 "실패하지 않는 방법'을 알려주려는 것이 아닙니다. "앞으로도 계속 실패합시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반볻되는 실패는 사잔의 방법론 중 기본입니다. '실패 같은 건 의미가 없어'라고 생각하는 분도 계실 겁니다. 사진에 대한 노하우가 어느 정도 갖춰진 상태라면 초보적이며, 무의미한 충고처럼 들릴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런 분들께도 실패를 권하고 싶습니다. 실패를..
북디자이너 정병규의 서재 : 책이란 자연스럽게 삶의 일부로 들어온다 어제(14일) 책을 택배로 받고 단숨에 읽었다. 총 15명의 지식인의 서재가 소개되어 있다. 일일이 소개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니 지식인의 서재를 참조하시라. 책을 읽기 전에도 북 디자이너 정병규님의 소개 동영상을 보고 감명을 받았다. 15명 모두 각각의 내용이 있으나 정병규님이 말하는 책과 서재는 내가 책을 가지고 있어야만 하는 이유를 들려주고 있다. 이 책을 읽고 그간 책은 순환되어야지 하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한동안 쌓아두고 있어야겠다. 그리고 서재라고 할 수 없는 방이지만 그곳에 이름을 붙어야겠다. 내가 그 서재에 의미를 두어야 그곳도 나에게 의미 있는 곳으로 다가올 것이다. 이름은 좀 고민을 해보자. 우리나라에서는 책이 아직도 출판문화 수준에 머물고 있어요. 우리나라 책은 국화빵 같잖아요. 출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