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유행처럼 지났던 역발상에 대한 기사를 보았다. 이름하여 '영등포구를 빨리 망하게 해보자'이다. 구청장의 아이디어인지 아니면 참모들의 것인지는 모르지만 듣기만 하여도 신선하다. 지속적으로 관리가 되어야 할터인데 모양새를 갖추기 위한 것이 되면 안될것으로 보인다. 주민소환제(주민 힘으로 퇴출 시킨다… `주민소환제` 25일 시행 [중앙일보])가 시행되므로 책임을 물을 수 있다.
역발상 - 다시 돌아보며를 보면 하프플라자가 나온다. 실패한 역발상. 더 이상 학습은 필요 없다.
영등포구의 모범적인 - 아니 어쩌면 당연한 일이겠지만 워낙 세월이 하 수상하니 당연한 일이 신문에도 나오고 또 시덥지 않은 글에도 오르게 되는구나 - 사례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영등포구를 빨리 망하게 하자(?)" 기초자치단체로는 처음 15일 국무회의에서 혁신 사례를 보고한 영등포구청(구청장 김형수)의 혁신 과제명은 다소 엉뚱하다.
'어떻게 하면 영등포구를 빨리 망하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방법을 속속들이 찾아내는 것이다.
김형수 구청장은 "공사를 부실이 없게 하는 방법을 찾는 것보다 어떻게 하면 공사가 부실해지는지 역발상으로 혁신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영등포구는 2005~2006년 준공된 현장 중 신길동 구민체육관 천장 누수와 같은 부실ㆍ하자 공사가 무려 180건이나 발생했다.
김 구청장은 향후 진행되는 현장에는 부실률 제로(0)를 목표로 모든 현장 정보를 전산화하고 이를 공개했다.
현재 영등포에서 진행하고 있는 관급공사는 총 42건, 건당 사업비는 3억원에서 많게는 100억원에 달한다 . 이 중 8월 준공 예정인 당산근린공원 지하주차장 건설(사업비 92억원) 현장에도 혁신시스템은 적용되고 있다.
주차장 공사 진행 단계, 책임자 및 연락처, 사업비와 공사기간, 규모 등 모든 정보는 구청 관급 공사 사이트에 공개했다.
현장에는 360도 회전 가능한 웹카메라를 설치해 주민들이 울타리 안 공사 모습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 주민들이 동영상을 보고 올린 의견은 공사 관계자들이 바로 확인하게 된다 . 공무원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현장 관리감독에도 민간인을 대거 포함시켰다 . 인허가권자인 공무원과 건설업체간 발생할 수 있는 비리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다.
민간인 중 토목ㆍ건축 전문가와 공무원으로 구성된 `공사품질관리위원회`는 당산동 현장을 수시 방문해 부실 여부를 채점한다 . 벌점이 쌓인 공사업체는 향후 관급 공사를 수주할 수 없어 매 단계 공사에 철저할 수밖에 없다 . 채찍 외에 우수 업체에는 표창을 줘 관급 공사업체 간 공사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경쟁을 유도하고 있다.
부실ㆍ비리를 줄이기 위해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사람들은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구민 감사관`.
지난해 이들이 관내 63곳의 사업장을 방문해 내린 시정조치만 650건에 달할 정도로 활약이 크다 . 구청 측은 이 같은 시스템 도입으로 현장별 18일가량 업무처리 시간이 단축되고, 공사관리비는 연간 7억원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무엇보다 지난해 1분기 23건에 달하는 공사 부실 사례가 올해 3월까지 단 한 건도 적발되지 않고 있다.
영등포구 혁신 사례를 벤치마킹하려는 다른 지자체 움직임도 활발하다 . 서울시는 최근 지하철 공사 현장에 웹카메라를 설치해 공개하고 있다 . 또 경기도 양주와 경북 포항시 등 지자체들도 영등포구에 시스템 도입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