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기 연습 (40) 썸네일형 리스트형 깡통 불놀이는 쥐불놀이가 아니다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쥐불놓이(쥐불놀이)는 우리 전통 민속놀이이다. '농가에서 음력 정월의 첫 자일(子日)에 쥐를 쫒는다고 하여 논두렁이나 밭둑에 놓는불' 또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청년들이 동네별로 편을 나누어 둑에 불을 놓고 먼저 끄기를 겨루었던(이긴 동네 쥐가 진 동네로 모조리 몰려간다고 믿기에) 전통 민속놀이'가 쥐불놓이의 사전적 의미이다. 깡통이 일반화 된것은 한국전쟁이후 일 것이다. 깡통 불놀이는 그 이후에 시작되었을터인데 전통 민속놀이로 깡통 불놀이를 쥐불놓이로 설명하는 것은 말이 되지않는다. 국립국어연구원의 쥐불놀이의 설명을 보면 친절하게도 깡통 불놀이의 사진까지 첨부해 놓았다. 쥐불놓이(쥐불놀이)와 깡통 불놀이는 다른 것이다. 물론 시대가 변하여 전통도 현대화를 할 수 있다고 말 할 수도 있지만 깡통은 아니.. 산초가루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이제 삼복이 다가온다. 삼계탕과 함께 여름 보신 음식으로 추어탕이 있다. 추어탕을 먹을때 빠질 수 없는 것이 들깨와 산초가루다. 독특한 향신료가 미꾸라지의 비린내가 없애주고 식욕을 증가시켜 준다. 이 가루가 없었다면 추어탕을 먹기가 힘들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산초가루는 잘못된 것이다. 그것은 조핏가루이다. 산초가루는 우리말 사전에 올라있지 않은 말이다. + 조핏가루 초피나무 열매를 따서 말린 다음 씨를 빼고 열매껍질로 만든, 아주 잘고 보드라운 가루. 약재나 음식의 조미료로 쓰인다. [비슷한 말] 천초말. 덧붙임_ 산초와 초피는 같은걸까 다른걸까? 바야흐로 가마솥 추어탕이 맛있는 계절 깡술, 깡소주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즐겨마시는 소주에도 등급이 있다. 지금은 문학 작품속에서나 볼 수 있는 소주들이다. 막소주나 아랑주같은 등급이 있다. 소주를 고고 난 찌꺼기를 아랑이라고 하고, 그 아랑만으로 다시 고아 만든 질이 낮고 독하기만 한 소주가 아랑주이다. 이 아랑주는 워낙 독해서 옛 어른들은 "술이 아니라 아랑주를 마셔도 정신을 놓으면 안 된다"고 일렀다. 술에 대해서도 재미있는 표현들이 있다. 낮에 마시면 낮술, 거저 얻어 마시면 공술, 벌로 마시면 벌술이고 맛도 모르면서 마시면 풋술이다. 정월 대보름날 귀 밝아지라고 마시는 술은 귀밝이술, 또 잔칫집이나 초상집에 부조로 내던 술을 부좃술이라고 한다. 평소에는 잘 마시지 않다가 한번 입에 대면 정신없이 퍼마시는 것을 소나기술이라고 한다. 술을 엄청나게 먹은 양, 또는 그렇게.. '창발(創發)'의 참뜻 아십니까 ... 개뿔 창발(創發)의 의미가 무엇일까? 사전에서도 정확한 의미를 찾을 수 없다. 단지 네이버를 검색하면 이렇게 나온다. 창발 [創發] : [명사] 남이 모르거나 하지 아니한 것을 처음으로 또는 새롭게 밝혀내거나 이루는 일. 창발 오픈사전 : 처음 밝혀 내는 것의 북한말 창발 (創發) : emergence. '창발성'의 참뜻 아십니까(2001/04/04)라는 동아일보 사설에서 창발성(創發性)에 대한 내용을 볼 수 있다. 사설의 내용과는 무관하게 창발이라는 단어가 언제부터 쓰이게 된 것인지에 대한 궁긍증이다. 국내 학계에서는 오래전(1989년)부터 사용해 오던 개념이라고 한다. “99년 발간된 국립국어연구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은 ‘창발’을 ‘처음으로 또는 새롭게 내놓거나밝혀내는 일’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 이전에.. '고수부지'를 뭐라고 불러야 하나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고수부지(高水-敷地, -しきち) 국적불명의 조어이다. 직역하면 높은 물(큰물 즉 홍수)의 고수와 빈 땅을 가리키는 일본말 부지를 합하여 나온 말이다. 고수부지가 맞지않으니 둔치로 바꾸자고 하여 둔치와 구수부지가 혼재되어 사용되었다. 한데 둔치는 명확한 의미에서 고수부지의 대체어가 될 수 없다. 가리키는 의미가 다르기 때문이다. 둔치가 맞지 않다고 하는데 지금도 둔치를 쓰고 있다. 그렇다면 뭐라 불러야 할까? 국립국어원은 무성의하게도 '강턱', '둔치' 나 '둔치마당'으로 순화하라는 말뿐이다. 당시 일본 건설성토목연구소 연휴연구원이었던 이삼희씨가 둔치가 적절하지 않다고 이야기 한 것이 1997년이다. 1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어떤 말을 써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다. 고수부지가 사용된 것을 .. 긁어 부스럼...사족(蛇足) : 잘못 이해하고 있는 고사성어 타산지석 [他山之石] : 고사성어 제대로 알고 쓰자에서 적은 바와 같이 우리가 알고 쓰는 고사성어 중에서 그 사례가 잘못된 것이 많다. 그중 내가 아주 잘못 사용하고 있는 것이 사족 [蛇足]이 있다. 사족 [蛇足]하지 않아도 될 쓸데없는 일을 덧붙여 하다가 도리어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초(楚) 나라의 영윤(令尹) 소양(昭陽)이 위(衛) 나라를 치고 다시 제(齊) 나라를 치려 할 때, 제나라의 세객(說客) 진진(陳軫)이 소양을 찾아와 다음과 같이 설복할 때 나오는 말이다. “여러 사람이 술 한 대접을 놓고 내기를 하였는데, 그것은 땅바닥에 뱀을 먼저 그리는 사람이 그 술을 마시기로 한 것입니다. 한 사람이 뱀을 제일 먼저 그리고 왼쪽 손으로 술대접을 들면서 오른손으로 뱀의 발까지 그리면서 ‘나는 발까.. 타산지석 [他山之石] : 고사성어 제대로 알고 쓰자. 우리가 알고 쓰는 고사성어 중에서 그 사례가 잘못된 것이 많다. 예로 타산지석 [他山之石]이 있다. 윗사람에게 '선생님의 말씀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노력하겠습니다'라고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즉 "다른 사람의 하찮은(자신보다 못한) 언행일지라도 자신의 학덕을 연마하는 데에 도움이 됨"을 의미한다. '남이 훌륭한 점을 보고 얻는 것'을 가리킬 때는 '귀감(龜鑑)'을 쓴다. 타산지석 [他山之石]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신의 학덕을 연마하는 데에 도움이 됨을 비유한다. 《시경》 〈소아편(小雅篇)〉의 '학명(鶴鳴)'에 나오는 구절 '… 타산지석 가이위착(他山之石 可以爲錯;다른 산의 못생긴 돌멩이라도 구슬 가는 숫돌은 됨직한 것을!)' 에서 나온 말이다. 옥은 숫돌로 갈아야...타산지석(他山之石) .. 마호병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마호병 '마호'는 '마법'이라는 일본어다. 마호병이란 마법의 병이란 뜻인데, 오랫동안 보온이 되는 것이 신기하여 이같은 이름이 붙어진 것이다. 보온병으로 써야 한다. 곤색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곤색 어두운 남색, 즉 검은빛을 띤 푸른색을 흔히 '곤색'이라고 하지만 이는 감(紺)의 일본 발음 '곤(こん)'에 우리말 색(色)이 합쳐진 말이다. 짙은 청색을 가리키는 말이다. 군청색, 짙은 남색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 건승을 기원합니다 ... 개뿔 'OOO님 건승을 기원합니다'라는 문구를 많이 본다. 또한 신문에서도 '건승'이라는 문구를 써 '승리' 또는 '발전'의 의미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IT산업 발전과 함께 성장과 건승을 기원합니다'라는 말처럼 사용하는 것은 흔히 보고있다. 버릇이 어디가겠냐마는 신문 타이틀을 위해 줄인다고 아무말이나 갖다 붙이지말고 찌라시를 양산하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 그들에게 바라는 작은 소망이다. 건승[健勝][명사] 탈 없이 건강함. '건승'이란 건강함을 말한다. '건승하세요'란 무탈하게 잘 지내시길 바란다는 말이다. 어감처럼 출정을 앞 둔 정치인이나 선수들에게 쓰는 말은 아닌것이다. 흔히들 지 쪼대로 맘대로 사용한다. 개뿔. 한자에 해박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우리말에 박식하지도 않은 내가 이런 말을 하다니.. 개뿔. ..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