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間 (1256) 썸네일형 리스트형 나는 감성마을로 갈 수 없다 지역 경제 발전의 대안 - 이외수 감성마을을 가보고 싶다. 더 솔직히 말하면 감성마을 가는 길을 가고 싶다. 하지만 나는 감성마을을 갈 수가 없다. 감성마을에 오는 길에는 몇 개의 표지판이 있다. 새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4㎞. 물고기가 헤엄치는 방향으로 2㎞. 표지판에는 방향을 지시하는 새와 물고기가 한마리씩 그려져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하악하악, 너무나 화살표에 익숙해 있어서 뻑 하면 다른 길로 빠져버린다. 뿐만 아니라 도로의 일정 부분은 내비게이션도 감지하지 못한다. 사람들은 불만을 토로하지만 아놔, 모르는 말씀, 인공위성 따위가 어찌 선계로 가는 길을 안내할 수 있단 말인가. 129쪽 화살표에 익숙해진 지구인들은 다른 설명을 읽고 판단한 여유가 없어보인다. 아래의 사진이 물고기가 선명히 보인다. .. 블로그의 맹점 : 커뮤니티의 대안이 되나? 블로그를 한지도 오래되었다. 네이버에서 코리아이룸과 태터를 거쳐 티스토리까지. 블로그가 커뮤니티의 대안이 될 수 없음은 모두 인지하는 사항이다. 블로그는 미디어라고 생각한다. 미디어의 맹점은 단 방향이다. 블로그가 어느정도 소통의 통로를 마련하고 있지만 미흡하다. SNS-포털 경계가 사라진다 : 인터넷에서 SNS(인맥서비스)와 포털사이트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다. 테터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베타테스트 중이라고 들었다. SNS기능을 강화한 서비스라고 한다. SNS의 중요성은 늘 강조되고 있지만 효용성에 대하여서는 의문이다. 하지만 대세는 SNS임에 틀림없다. 네이버블로그가 유지되는 이유는 편리성 등등 모든 것들 중에 '이웃기능'이다. 물론 네이버라는 거대한(?) 산이라는 뒷배경이 한층 더 해준다. 요즈음 읽고.. 오마이뉴스는 문국현과 다른 길로 가려나? 작년 대선정국에서 오마이뉴스는 다른 길을 가는가 보다라고 하며 오마이뉴스의 문국현후보에 대한 밀어주기를 말한 적이 있다. 문국현과 이회창의 악수(惡手)로 인하여 와 문국현의원간의 그동안 밀월이 끝나감을 느끼게 한다. 문국현의 변신, 도 자성해야한다고 하는 말을 들었는지 오마이뉴스의 메인에 "'인간 중심'에 정주고 뺨 맞은 지지자들"이라며 오마이뉴스(? 물론 신문사의 공식적인 견해인지는 모르지만 메인에 나왔으니 편집의도와 상이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국민의 숲' 대신 '차떼기 원조'에게 간 문국현이라며 그동안 남다른 애정을 보이던 문국현의원에게서 돌아서 다른 길을 가기로 하였다. 기사의 내용을 보면 "유권자들은 그를 비판하고 싶어도 참았다"며 그동안 쌓였던(?) 한풀이를 하듯이 하고있다. "정체를 .. 문국현과 이회창의 악수(握手)는 악수(惡手)이다 작년 대선 후보로 나왔을때 문국현은 누구인가?라는 의문으로 포스팅을 작성한 적이 있다. 그 이후 대선이 끝나고 더 의문이 들었다. 대선 후 심각한 내분을 격고 있을때 창조한국당은 1인정당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많이 들었다. 이번 선진당과의 공조를 보면서 문국현은 구멍가게 사장님이라는 생각에 동조를 하고 공감한다. 대통령병에 걸린 이회창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싶지않다. 그가 말하던 '대의(?)'가 누구를 위한 대의란 말인가? 쿼바디스, 창조한국당 이란 말이 정답이다. 창조한국당이 '문국현당'이라는 소리를 듣고 있다. 2007년 대선 자금의 회계처리로 당의 존립조차 문제가 되고 있다.문국현 쪽,"한겨레, 오마이 오보다"라고 말하지만 힘들어 보인다. 오마이뉴스는 다른 길을 가는가 보다.에서 문국현에게 지지를 보.. 황석영 삼국지가 최고의 번역본인가? 황석영의 삼국지를 읽지않아 번역의 질을 논하긴 어렵다. 작가의 서문을 읽어 보면 "불충분한 번역본을 새로 만들기 위하여 새로이 삼국지를 번역"한다고 되어있다. 삼국지로 유명한 나그네님의 포스트 [최고의 고전번역을 찾아서] 삼국지 역본에서 황석영 번역본에 관한 글을 보았다. 평소 황석영의 글빨(?)에 존경을 해왔던 나로서는 이해가 가질 않는다. 기본적으로 판매 수량이 나오니 돈이 급했을까?(이 부분은 삼국지 최고의 판매를 하고있는 이문열씨도 자신의 삼국지에 관하여 언급한 내용이다.) 이혼도 하고 그간 돈도 못 벌었으니 궁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정도는 아니다. 한국의 대표작가들이 끊임없이 '삼국지' 번역을 시도하는 이유는 뭘까. 문학평론가 조성면씨는 "삼국지는 일단 출판하면 어느 정도 팔린다는 게 보장돼 .. 책을 어떻게 읽었나 - 2008. 04 4월은 1권을 구매 그리고 1권을 지인에게 받았다. 도서관에서 5권을 빌렸다. 그중 2권은 읽지도 못하고 납기일을 넘겨 반납을 하였다. 년말까지 100권이 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읽고 있는 책이 4권이나 되니 책의 진도는 안나가고 어중간한 시간이 4월이었다. 큰아이(초등학교 2학년)와 물론 둘째아이(7살)도 같이 전략삼국지(전 60권)를 25권까지 빌려 읽었다는 것이 마음의 위한이다. 삼국지를 어떻게 볼 것인가는 예전부터 가지고 잇는 고민 중의 하나이다. 1월 : 8권(책을 어떻게 읽었나 - 2008. 01) 2월 : 7권(책을 어떻게 읽었나 - 2008. 02) 3월 : 7권(책을 어떻게 읽었나 - 2008. 03) 4월 : 4권 ----------- 26권 ▣ 2008년 4월 읽은 책 1. HOT .. 미친 세상 미친 언론들 : 김장훈보도를 보며 김장훈의 17일 청계천 촛불집회에 참석하는 것에 대한 보도를 보고 미친 언론이란 생각이 들었다. 아무 생각도 없는 무뇌충이란 생각이다. 사실 확인은 따지지 않는다. 똑깥은 내용의 쓰레기를 양산하고 있다. 촛불문화제 윤도현 김장훈 사법처리 사실과 달라라는 오마이뉴스의 보도를 보면 기자들 그리고 쓰레기같은 언론의 선정성에 화가 나지 않고 측은한 마음이다. 김장훈의 원문보기 윤도현 소속사 관계자는 이날 와의 통화에서 "윤도현한테 경찰이 전화한 적 없다"며, "그냥 (김장훈과 윤도현) 둘이 통화하면서 농담처럼 윤도현이 김장훈에게 '혹시 잡혀가는 거 아니야?'라고 이야기한 것이며, 이를 김장훈이 아마 진지하게 받아들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윤도현이 최근 촛불문화제 참석하면 잡혀간다거나 문화제 .. 중고책을 내놓다 : 알라딘 수수료가 10%나 된다. 보물섬에 기증을 한적은 있지만 온라인에 책을 내놓은 것은 처음이다. 아이들 책은 이제 다 읽어 팔아 다시 다른 책을 구매하려고 한다. 전집류는 책장의 압박으로 인하여 처분하려고 한다. 작년 홍대 책축제에서 우연히 알게된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이 근처에 있다면 기증(?)을 하고 가능하다면 몇 권 바꿔오고 싶다. 하지만 너무 멀다. 알라딘중고삽과 오픈북에 중고책을 내놓았다. 팔릴까 하는 생각이다. 아이들 전집은 아마도 팔릴 것이다. 내가 내 놓은 전집류가 팔릴까? 아직도 읽을 사람이 있을까? 태백산맥 10권 한강 10권 상도 5권 도담도담 원리과학동화(2005) 60권 호야토야(2001) 50권 그 이후의 글. 작성 이후에 공개하지 않던 글을 수수료에 놀라 공개를 한다. 한강은 3만원에 팔렸고 도담도담 원리과.. 1975년 5월 13일 긴급조치 9호 : 타는 목마름으로 타는 목마름으로 1975년 5월 13일 오후 3시,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헌법에 대한 일체의 비판이나 반대 논의를 금지'하는 긴급조치 9호를 선포했다. 1975년 5월 13일부터 1979년 12월 7일까지. 그 4년 7개월 동안 한국의 민주주의는 길고 어두운 터널에 갇혀 있었다.1974년 1월 8일은 '대통령 긴급조치 1호'가 발표된 날이다. 김지하 시인은 '1974년 1월을 죽음이라 부르자('1974년 1월' 中)'고 말했다. 그 1년 후 긴급조치 9호가 선포되었다. 세상은 여전히 그의 오아시스를 기다린다며 시인의 을 기리고 있다. 하지만 긴급조치의 시대는 시인만의 고통이 아니었다. 많은 민중들의 투쟁으로 막을 내리게 된 것이다. 타는 목마름으로 - 안치환 타는 목마름으로 - 김지하 신새벽 뒷골목에 .. 언론사의 선정적 보도 : 김수영을 통해서 본 시인 김수영(1921~68)의 미발표 시 15편과 일기 30여편 등 미발표작들이 공개되었다. 초기 작품과 소설 구상에 대한 글들이다. 그의 일기에는 미발표 시와 미완성 소설, 구상 중이던 소설에 대한 메모, 책을 읽으며 발췌한 문장 등이 꼼꼼히 기록돼 있다. 김수영 문학의 원천이라고 할 만한 자료들이다. 생전에 한편도 소설을 발표한 적이 없는 시인이었지만 55년 1월 5일자 일기를 보면 그가 소설을 쓰고 싶어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앉으나 서나 글을 쓰고 싶은 마음이 용솟음친다. 좋은 단편이여, 나오너라." 하지만 신문의 보도는 다분히 선정적이다. 특히 보수 언론의 헤드라인은 더욱 더 그러하다. 중앙일보의 김수영의 미발표 시 ‘김일성 만세’ 발굴과 한겨레신문의 김수영 시인 “‘김일성 만세’ 말할 수.. 이전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26 다음